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debugging
- docker image
- 그리디 알고리즘
- 알고리즘
- 거스름돈
- 코테
- docker
- 디버깅
- 클라우드
- Access Modifier
- 서브넷
- 전자레인지 문제
- sqlplus
- MySQL
- java.io
- 브론즈
- 자바스크립트 기초
- reference data type
- Greedy 알고리즘
- DevOps
- 프로그래머스
- 백준
- 탐욕 알고리즘
- SQL
- greedy
- join
- Docker 핵심
- Java
- date_format
- docker 개념
- Today
- Total
목록Docker & Kubernetes (3)
나는매일가운데

IaC = Infrastructure as Code - Infrastructuref를 코드로 정의하고 자동화 하는 것 - 즉, 서버, 네트워크, 스토리지 등의 인프라스트럭처를 코드로 작성하여 버전 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리하고,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통해 인프라스트럭처를 생성, 배포 및 관리하는 것 - 핵심 : 인프라스트럭처를 코드로 정의하고, 소스코드와 같은 방식으로 관리하는 것 - 장점 수동으로 설정하는 것보다 일관성이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은 동적 인프라스트럭처에서 유용 => 확장 축소, 재사용성 등 유지보수성 증가 쓰레드는 타이머를 기반으로 만들어짐 => 쓰레드 생성 시 타이머를 설정 하면 꼬일 가능성이 높다 1. 컨테이너로 이미지 만들기 (Commit & DockerFile build) (1) ..

0. 시작하기전... - 도커는 도구일 뿐이다 최대한 사용법에 익숙해지자 1. 도커 리터러시 - 리터러시 : 어떤 분야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가지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(1) 컨테이너 - 배경 : 과거 항해 시 화물마다 다른 무게, 선적 방법으로 인해 선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, 기간이 길어졌다. => 컨테이너를 통해 이를 규격화시킴 => 선적 과정 단축으로 인해 비용, 기간 단축 및 환적이 쉬워졌다. 과거 개발 환경을 통일 시키기 위해 다양한 app, 환경변수 설정하기 까지에 기간이 길게 걸렸다. 또한 오픈소스의 치명적인 단점인 버전 이를 해결해야 했었다. 이 처럼 컨테이너의 개념은 개발 환경, 배포를 규격화 시킴으로 인해 개발 비용, 배포, 기간이 단축되었다. - 개념 : 도커의 아키텍쳐 ..

01. Docker (1) MSA (Micro Service Architecture) => 개별 기능을 하는 작은 서비스를 각각 개발, 연결하여 운영하는 WEB Architecture => 복잡성의 증가, 다양한 언어로 개발, 빠른 개발 및 배포 주기로 인해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다. => 장점 : 1.시스템의 확장성 증가 2.독립적인 서비스의 개발로 즉각 대응 가능 3. 하나의 서비스가 다운되더라도 전체 시스템이 영향 받지 않음 4. 대형 프로젝트에서 적합함 => 단점 : 1. 다수의 서비스들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개발 및 배포 복잡 2. 분산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 필요 3. 테스트 및 디버깅 어려움 (2) 모놀리식 아키텍쳐 ->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여러 기능이 통합되어 있는 구조 -> 장점 : 개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