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거스름돈
- MySQL
- 코테
- Docker 핵심
- 그리디 알고리즘
- 프로그래머스
- 전자레인지 문제
- Java
- DevOps
- docker
- 디버깅
- docker 개념
- 클라우드
- Access Modifier
- java.io
- sqlplus
- debugging
- date_format
- join
- SQL
- 백준
- docker image
- greedy
- 서브넷
- 탐욕 알고리즘
- Greedy 알고리즘
- 브론즈
- 자바스크립트 기초
- reference data type
- 알고리즘
- Today
- Total
나는매일가운데
SQL (1) SQL 문의 종류 본문
(1) SQL문
1. DDL (Data Definition Language) : Table을 관리하는 명령문, 테이블의 형식, column 명 등을 지정해준다
- CREATE : 테이블 생성
- DROP : 데이터 베이스 객체 (테이블) 삭제
- ALTER : 기존의 테이블을 수정
2. DML (Data Manipulation Language) : Table내의 data의 내용을 관리하는 명령문
- SELECT (조회) : 테이블 내의 데이터 조회
- INSERT : 테이블 내의 새로운 데이터 삽입
- DELETE : 테이블 내의 데이터 삭제
- UPDATE : 테이블 내의 데이터 수정
3. DCL (Data Control Language) :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가 사용하는 명령문으로, 주로 권한 생성과 삭제이다.
- GRANT :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 권한 부여
- REVOKE :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 권한 삭제
4. TCL
- COMMIT
- ROLLBACK
(1) DML
SELECT (column name) from (테이블 명)
-> 테이블로 부터 column name의 해당하는 전체 내용을 불러온다
-> --- 위의 내용은 column의 이름을 나타내명 ALIAS를 통해 column명을 변경할 수 있다
SELECT (column name) FROM (테이블 명)
WHERE (조건) => 원하는 조건의 내용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
GROUP BY (Column name) => 동일 column 의 데이터를 그룹화 하여 출력할 수 있다.
HAVING (그룹 조건) => 조건에 맞는 그룹을 출력할 때 입력 한다.
ORDER BY (조건 ASC || DESC) => Sorting
=> SQL select 문의 기본구조이다.
INSERT INTO 테이블명(column 이름) VALUES (데이터);
=> 테이블에 column에 맞는 데이터를 입력.
DELETE FROM 테이블명
=> 테이블 내의 데이터를 모두 삭제한다 (기본형)
=> where문을 추가로 입력함으로써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삭제 가능하다.
UPDATE 테이블명 (변경할 내용) WHERE (변경할 데이터의 조건)
=>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수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