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DevOps
- join
- sqlplus
- 알고리즘
- Access Modifier
- MySQL
- Docker 핵심
- 백준
- reference data type
- Java
- docker 개념
- 거스름돈
- 자바스크립트 기초
- 탐욕 알고리즘
- docker
- 클라우드
- 프로그래머스
- 전자레인지 문제
- greedy
- 코테
- 그리디 알고리즘
- Greedy 알고리즘
- date_format
- SQL
- 서브넷
- java.io
- 브론즈
- docker image
- 디버깅
- debugging
- Today
- Total
나는매일가운데
DevOps - Linux (1) 실습환경 구성 및 기본 사용 (23/04/27) 본문
1. 서버 만들기
(1) VPC (virtual private cloud) :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해주는 가상 머신
(2) VPC 생성하기
- 192.168.xxx.xxx/16 : 사설 IP (내부 망에서 사용) / 서브넷 마스크가 255.255.0.0을 의미한다.
- 서브넷 네트워크 : VPC 네트워크 범위내 서브넷을 생성함
- 서브넷을 하나 더 만든다고 가정할 때 네트워크 범위가 겹치지 않게 지정해줘야한다.
(3) 서버 생성
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: 서브넷 안에 위치하는 서버의 IP주소를 할당함. (마지막 숫자는 6~254까지 지정 가능) => 내부망에서만 접근 가능
- 공인 IP : 외부에서 서버에 접근하기위한 통로;..??
(4) ACG 설정
- ACG : 서버 접근 규칙 (방화벽 역할) => 네이버 클라우드 한에서만 쓰는 용어
- 인바운드 :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외부로 부터 시스템 내부로 전송되는것을 말한다. ACG 설정 시 인바운드 규칙을 설정하여 접근이 가능한 IP주소를 제한할 수 있다.
- 아웃바운드 : 서버에서 나가는 통신 =>
=>>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버 생성 및 네트워크 설정까지 완료되었다.
2. 서버 접속 (콘솔 환경)
(1) 콘솔 :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다 통신을 하기위한 장치, 프로그램, 키보드로 입력한 내용을 전달, 서버에서 처리결과를 전달받아 모니터에 출력
ssh
-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,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
- 기본적으로 22번 포트를 사용, 패스워드 인증, 공개키 인증, 증명서 인증 등이 있다.
관리자 권한 (root 권한) : 시스템에 대한 모든 명령을 실행 할 수 있다.
- 계정에 접속하게 되면 home dir로 이동하게 된다.
- 명령 : 실행하려는 프로그램
- 옵션 : 명령에 대한 세부 기능 (- , --로 시작)
- 각각의 인자는 space로 구분이 된다.
- 파란색 : direactory
- 하얀색 : 파일
- .파일명(디렉토리명) : 파일, directory를 숨김 표시
* 기본 명령어
- date : 로컬 시간에 맞게 현재 날짜 및 시간을 출력
- clear : 터미널 화면을 지움
- man : 명령 사용 방법을 화면에 출력
- passwd : 현재 접속한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 변경
- exit : 리눅스 서버와의 연결을 종료 (logout) => 서버 종료의 의미가 아닌 로그아웃이다.
'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evOps - Linux (4) 프로세스와 서비스 (0) | 2023.04.27 |
---|---|
DevOps-Linux (3) 파일 시스템 (2) | 2023.04.27 |
DevOps Linux(2) 파일과 디렉토리 (0) | 2023.04.27 |
DEVOPS(2) 소프트웨어 관리 및 유틸리티 (23/04/27) (0) | 2023.04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