나는매일가운데

DevOps - Linux (1) 실습환경 구성 및 기본 사용 (23/04/27) 본문

DevOps

DevOps - Linux (1) 실습환경 구성 및 기본 사용 (23/04/27)

전로찡 2023. 4. 27. 11:08
반응형

1. 서버 만들기

(1) VPC (virtual private cloud) :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해주는 가상 머신

  

 

(2) VPC 생성하기

(1)
네트워크 지정

- 192.168.xxx.xxx/16 : 사설 IP (내부 망에서 사용) / 서브넷 마스크가 255.255.0.0을 의미한다.

 

서브넷 생성

- 서브넷 네트워크 : VPC 네트워크 범위내 서브넷을 생성함

- 서브넷을 하나 더 만든다고 가정할 때 네트워크 범위가 겹치지 않게 지정해줘야한다.

 

 

(3) 서버 생성

서버는 Ubuntu-20.04 선택

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: 서브넷 안에 위치하는 서버의 IP주소를 할당함. (마지막 숫자는 6~254까지 지정 가능) => 내부망에서만 접근 가능

 

- 공인 IP : 외부에서 서버에 접근하기위한 통로;..??

 

 

(4) ACG 설정

- ACG : 서버 접근 규칙 (방화벽 역할) => 네이버 클라우드 한에서만 쓰는 용어

 

- 인바운드 :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외부로 부터 시스템 내부로 전송되는것을 말한다. ACG 설정 시 인바운드 규칙을 설정하여 접근이 가능한 IP주소를 제한할 수 있다.

 

- 아웃바운드 : 서버에서 나가는 통신 =>

 

모든 IP 접근 허용
모든 IP 포트에서 접근, 목적지를 허용한다.

 

=>>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버 생성 및 네트워크 설정까지 완료되었다. 

 

 


2. 서버 접속 (콘솔 환경)

 

(1) 콘솔 :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다 통신을 하기위한 장치, 프로그램, 키보드로 입력한 내용을 전달, 서버에서 처리결과를 전달받아 모니터에 출력

 

 

ssh

-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,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암호화

- 기본적으로 22번 포트를 사용, 패스워드 인증, 공개키 인증, 증명서 인증 등이 있다.

ssh를 사용해서 Linux서버에 접근

 

 

관리자 권한 (root 권한) : 시스템에 대한 모든 명령을 실행 할 수 있다.

- 계정에 접속하게 되면 home dir로 이동하게 된다.

command line 의 구조

- 명령 : 실행하려는 프로그램

- 옵션 : 명령에 대한 세부 기능 (- , --로 시작)

- 각각의 인자는 space로 구분이 된다.

 

- 파란색 : direactory

- 하얀색 : 파일

- .파일명(디렉토리명) : 파일, directory를 숨김 표시

 

* 기본 명령어

- date : 로컬 시간에 맞게 현재 날짜 및 시간을 출력

- clear : 터미널 화면을 지움

- man : 명령 사용 방법을 화면에 출력

- passwd : 현재 접속한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 변경

- exit : 리눅스 서버와의 연결을 종료 (logout) => 서버 종료의 의미가 아닌 로그아웃이다.

 

반응형